Main

GitHub

안녕하세요, 프론트엔드 개발자 최은빈입니다.

저는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깊은 성취감을 느끼는 개발자입니다.

어릴 적부터 수학을 통해 구조적 사고와 창의적인 문제 해결에 매력을 느꼈고, 개발에서도 같은 즐거움을 찾으며 꾸준히 성장해왔습니다.

저는 앞으로 다음과 같은 개발자가 되고자 합니다.

첫째, 새로운 기술을 두려워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탐구하는 개발자입니다.

프론트엔드는 변화가 빠른 분야이기에, 주요 프레임워크나 라이브러리를 최신 버전으로 테스트하며 변화에 적응하고,

커뮤니티를 통해 트렌드와 업계 흐름을 꾸준히 살펴보고 있습니다.

둘째, AI를 보조 도구로 현명하게 활용할 줄 아는 개발자입니다.

Next.js 최신 버전을 학습하면서 잘못된 AI 답변으로 혼란을 겪은 경험을 계기로,

항상 공식 문서를 중심으로 학습하고 새로운 지식은 반드시 검증 후 받아들이는 습관을 확립했습니다.

저는 반복적이거나 비교 검토가 필요한 작업에는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되,

핵심적인 문제 해결과 의사결정은 스스로 이해하고 판단하는 과정을 우선시합니다.

저는 백엔드 개발과 인프라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서비스 전체 흐름을 이해하고 개선할 수 있다는 점이 프론트엔드 개발자로서 차별화된 강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API 호출 제한 문제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 기반 캐싱 전략을 설계·구현해 안정적인 데이터 제공 구조를 마련했으며,

이미지 최적화와 서버 리전 변경 등을 통해 평균 응답 속도를 약 1300ms에서 550ms로 단축하여 사용자 경험을 근본적으로 향상시킨 경험이 있습니다.

이처럼 저는 단순히 UI 구현에 그치지 않고 서비스 전반의 성능과 안정성을 고려하며,

사용자 경험에 실질적인 가치를 더할 수 있는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되고자 합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기술적 경험을 바탕으로, 더 나은 서비스를 만드는 데 기여하겠습니다.

기술 스택

제가 사용하는 기술들을 소개합니다.

HTML5

HTML5

CSS

CSS

JavaScript

JavaScript

TypeScript

TypeScript

React

React

Next.js

Next.js

Vite

Vite

Tailwind CSS

Tailwind CSS

Redux

Redux

Zustand

Zustand

Java

Spring Boot

Spring Boot

MongoDB

MongoDB

MySQL

MySQL

Supabase

Supabase

Docker

Docker

AWS

NCP

NCP

Vercel

Vercel

GitHub

GitHub

Figma

Figma

Jira

Jira

Notion

Notion

Slack

Slack

Frontend

JavaScript

JavaScript

프론트엔드 개발의 핵심 언어인 JavaScript의 기본 개념과 동작 원리를 이해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ES6+ 문법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TypeScript

TypeScript

컴파일 단계에서 오류를 사전에 탐지하고 타입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프론트엔드 개발 시에는 항상 TypeScript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제네릭, 유틸리티 타입, 조건부 타입 등을 적절히 활용하여 확장성과 유지보수를 고려한 타입 설계를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React

React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이 많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는 React를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컴포넌트 기반의 UI설계와 상태 관리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React의 주요 훅도 상황에 맞게 적절히 활용할 수 있습니다.

Next.js

Next.js

서버 사이드 렌더링이나 SEO 최적화가 필요한 경우에는 Next.js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주로 Next.js 14 버전의 App Router 아키텍처를 사용하고 있으며, 개인적으로 큰 흥미를 가지고 있는 프레임워크라서 여러 프로젝트에서 활용해 본 경험이 있습니다.

공식 문서를 기반으로 학습하여 Next.js의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해보았으며, 특히 데이터 페칭 및 캐싱 방식을 상황에 맞게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Vite

Vite

React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는 빠른 번들링 속도를 제공하는 Vite를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Vite를 중심으로 Tailwind CSS, shadcn/ui 등의 다양한 기술 스택을 손쉽게 통합하여, 효율적인 개발 환경을 구축한 경험이 있습니다.

TailwindCSS

Tailwind CSS

UI의 일관성과 개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Tailwind CSS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Tailwind CSS의 반응형 유틸 클래스를 활용해 다양한 화면 크기와 사용자 상호작용을 고려한 UI를 구현할 수 있으며,

shadcn/ui와 Headless UI 컴포넌트를 커스터마이징하여 프로젝트 요구 사항에 맞는 스타일을 적용하는 데에도 익숙합니다.

Redux

Redux

프론트엔드의 전역 상태 관리 개념을 처음 학습할 때 사용했던 라이브러리입니다.

Redux를 통해 전역 상태 관리의 흐름과 구조를 익히고, 간단한 프로젝트에 직접 적용해본 경험이 있습니다.

Zustand

Zustand

전역 상태 관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Zustand를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Redux에 비해 설정이 간단하고 코드가 직관적이여서, 복잡한 상태 관리가 필요하지 않은 소규모 프로젝트에서 특히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Zustand의 기본 기능을 바탕으로, 필요한 상태를 목적에 맞게 구조화하고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Backend & Database

Java

Java

기본적인 Java 문법과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개념을 이해하고 있으며,

Java를 사용해 간단한 알고리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SpringBoot

Spring Boot

Spring Boot 프레임워크를 활용해 간단한 백엔드 서버를 직접 개발해본 경험이 있으며, 필요 시 간단한 RESTful API를 설계하고 구현할 수 있습니다.

JPA를 사용해 도메인 객체와 데이터베이스 간 매핑을 구성하고, 기본적인 CRUD 로직을 처리해본 경험이 있습니다.

MongoDB

MongoDB

MongoDB는 비관계형 데이터 구조가 필요한 프로젝트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데이터 모델링부터 직접 설계하고 구축할 수 있습니다.

Next.js 기반의 풀스택 개발 과정에서 MongoDB SDK를 활용해 다양한 기능을 구현한 경험이 있습니다.

다양한 연산자를 활용한 복잡한 쿼리 작성이 가능하며, 쿼리 성능 향상을 위해 인덱스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MySQL

MySQL

Spring Boot 기반의 백엔드 개발 과정에서 MySQL을 사용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고 연동한 경험이 있습니다.

정규화 원칙을 고려하여 테이블 구조를 구성하고, SQL 쿼리를 활용한 데이터 조회 및 조작 작업을 수행해본 경험이 있습니다.

Supabase

Supabase

Supabase의 Auth, Storage, Realtime 기능을 프로젝트에 적용해본 경험이 있습니다.

RLS를 활용하여 사용자 권한에 따른 데이터 접근 제어를 구현한 경험이 있습니다.

DevOps & Deployment

Docker

Docker

Docker를 활용해 MySQL을 컨테이너화하여 로컬 개발 환경을 구성해본 경험이 있습니다.

Dockerfile을 작성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를 직접 빌드하고, Docker Hub에 업로드하여 배포 가능한 형태로 관리해 본 경험이 있습니다.

AWS

AWS

AWS EC2를 활용해 리눅스 기반의 가상 서버를 직접 생성하고,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해본 경험이 있습니다.

인스턴스 생성부터 보안 그룹 설정, SSH 접속, 서버 환경 구성까지 전반적인 EC2 사용 흐름을 이해하고 있습니다.

NCP

NCP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NCP)의 Maps 서비스를 활용하여, 지도 렌더링부터 마커, 위치 기반 UI 구성 등 다양한 기능을 구현한 경험이 있습니다.

Vercel

Vercel

Next.js 애플리케이션의 배포에는 주로 Vercel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Vercel의 서버리스 환경을 이해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해 별도의 서버 구성 없이도 실제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배포하고 운영한 경험이 있습니다.